만성 피로란 ? 원인에 관계 없이 피로가 6개월이상 계속 되거나 반복 되는 것.
봄철 춘곤증으로 느끼는 피로는 1~3주 길지 않은 기간의 피로감이다.
봄 기간 내내 느끼는 피로감은 춘곤증과 구별되는 만성 피로증이라 할 수 있다.
만성피로 진단 방법 : 수면장애, 관절통, 식욕부진, 눈의 피로, 집중력 저하, 무기력 증상중 4가지가 해당 되면 만성피로
만성피로로 유발 되는 질환 : 피로로 인한 면역력 저하로 대상포진 발병 위험 증가
대상포진 : 수두 바이러스가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다 면역력이 떨어 지면 띠를 이루는 피부발진과 극심한 통증
사례자들이 도움을 받은 식품으로는 삼채가 있다.
삼채의 어떤 성분들이 도움을 주는가 ? 유황, 알리신 성분이 활성 산소 제거 효과
삼채 뿌리 장아치 : 발효시 단백질이 생성되 소화 흡수율을 높인다.
장아치 담그는 법 : 간장, 물 , 다시마, 다진마늘, 가다랭어포나 멸치
2 : 1 : 2쪽 : 3스픈 : 조금 을 넣고 끓여
식혀 삼채 뿌리에 부어 냉장 숙성후 3주 부터 먹는다.
잘 익은 삼채 뿌리를 먹기 좋게 잘라 참기름, 통깨, 파프리카를 넣고
샐러드로 만들어 먹는다.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한 잎의 활용 :
삼채의 잎은 소금물을 끓여 데쳐 먹으면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3배 증가)
엽록소 성분의 안정, 영양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데친 삼채는 된장에 무치면 영양적으로 좋다.
두통 : 솔잎은 뇌를 활성화 시키는 아세틸콜린 성면이 있어 신경 전달물질을 정상화 시켜 준다.
솔잎 발효액 : 흐르는 물에 씻어 송진을 제거 하기 위해 하룻동안 물에 담그거나
쌀뜨물을 이용하면 녹말성분이 짧은 시간( 4~5시간)에 송진제거를 할 수 있다.
쌀뜨물 이용시 다시 한번 헹구어 물기를 제거 하고 유리나 옹기에 솔잎 : 설탕을 넣어
1 : 1.2 비율
밀봉후 중간 중간 섞어 주고 뒤집어 줘 가며 100일 후 먹을 수 있다.
음용 방법은 소주잔 1잔의 양에 물 5잔을 섞어 먹는다.
솔잎은 농약, 유해물질을 잘 흡착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청정지역, 식용 채취가
허가된 지역의 것을 이용한다.
솔잎은 잎이 작고, 부드러운 적송(참솔)의 솔잎이 좋다.
솔잎감식초 발효액 : 감식초에 솔잎을 담가 숙성시켜 솔잎 식초와 미지근한 물을 1:10비율로 마신다.
불면증 : 바나나의 트립토판(세로토닌, 멜라닌생성), 칼륨, 마그네슘 성분은 근육을 풀어 주고 숙면을 유도 한다.
바나나 발효액 : 충분히 숙성돼 슈가스팟이 생성된 바나나를 잘게 썰에 꿀 0.8: 바나나 1의
비율로 유리병에 넣어 뚜껑을 열어 1일 1회씩 가스를 빼주고, 저어 가며 3일간 숙성후
바나나는 건져 내고 저온숙성하여 물 1컵 바나나 발효액 2스픈비율로 마시거나
바나나 발효액을 드레싱으로 만들어 샐러드에 뿌려 먹는다.
피로를 풀어 주는 콩나물 피로 회복수 만들기 : 콩나물 450g, 헛개나무열매 40g, 키위 2개.
콩나물을 근육과 뼈가 아플때 치료제로 쓰여 왔다.
콩나물을 대가리를 뗀다음 재료들만 유리에 넣고 중탕으로 물이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줄여 4시간 달여 준다.
120cc의 피로 회복수를 하루 오전 오후 2회 마신다.
피로 회복수는 활성 산소, 만성피로를 줄여 주는 효과가 있다.
* 냉한 기운을 가진 식품들로 찬성질의 체질이나 소화력이 약하거나
과민한 장증상이 있는 사람은 양을 절반으로 줄여 먹는다.
피로 회복수를 1주일 마신 실험자 3명의 활성산소(소변검사) 수치의 변화
실험 참가 시작시 987 회복수를 마신 뒤 수치402 택시기사 (운행시간 13시간)
661 220 시나리오작가 ( 컴퓨터, 밤샘)
710 337 주부
* 피로 회복수 효과 실험시 간과 소화에 부담을 주는 술, 고기, 치킨, 라면등을 제한 함.
'자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 여성 불면증에 좋은 (자귀나무껍질+ 뽕잎) 파스 만들기 (0) | 2016.05.01 |
---|---|
이혜정 만능 풍미유 만들기와 요리(궁보계정) (0) | 2016.04.28 |
화려한 꽃무늬 패턴 단순한 디자인 원피스 (0) | 2016.04.07 |
맛좋기로 소문난 김밥집의 남다른 조리법 (0) | 2016.04.06 |
맛 좋은 식당 숨은 레시피 비결 마요네즈, 천연 조미액(TV조선 만물상) (0) | 2016.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