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이지 않는 부산물 신선하고 풍미도 좋고
특히나 야채를 좋아하는 나는 가져가도 좋다는
허락하에 집에 가져온다
날마다 열일하며 산다고 생각던 내가 막상 일을
다니고 보니 살림만 하던 것은 늘어진 시간
보내기였다
주 1회 정돈 자의적으로 길면 6~7시간을 일터에
머물기도 한다
날마다 새로운 메뉴로 조합 되는 도시락, 샐러드의
구성도 재미있고 식재료에 따른 상품용 조리법은
가정식과는 조금 차이가 있으니 배울점도 많다
그간 직원들은 버려졌던 자투리를 생 야채로만
써 왔단다
그것도 처음 몇번간 그리고 미처 다 식용으로
사용되지 못하는게 반복되면 그친단다
나의 반응에 처음엔 다들 그래 아깝다고
가져다 먹어 나도 그랬어요~
다들 한마디씩한다
양상추만 가져다 먹다가 케일을 데쳐 무쳐도 먹고
김밥용 녹채로 쓰기도 했다
김밥은 먹기는 편해도 재료 준비가 간단 하지만은
않다
그래서 한번에 10줄 정도 쌀 수 있는 양을 준비한다
때론 그 속재료가 바닥 나도 대충 싸먹는다
그런대로 먹을만 한게 김밥의 장점이다
며칠전에도 아주 조금 남은 재료에
데친 케일대와 연근조림을 넣고 김밥을 쌌는데
의외로 더 깔끔하고 맛이 참 좋았던 경험이 있다
케일은 생으로 먹는건 아무래도 한계가 있으니
오늘은 장아치로도 담가 본다
출근일에는 시장 볼 여가가 아직 나지 않음으로
집 식구들 먹는 식탁은 아무래도 소홀해 질수
밖에 없다
김밥을 싸 먹으면 여러가지 재료를 맘대로 넣으니
영양 균형 면에선 좋을테다
가족들도 조금씩 변화 있는 김밥을 좋아하니
그간 담가 먹고 바닥 난 단무지와 오이 피클을
담갔다
쌀쌀해 지니 평소엔 잘 안 끓이던 국을 끓여 놓고
장보기 횟수도 현저히 줄고, 업장에선 예약분 보다
조금 여유 있게 조리해 직원들에게 동일하게
나눠 주는 경우도 종종 있다
덕분에 일하며 다소 소홀해진 식탁 가족들에게
덜 미안하다
평소엔 집에서 일하다 마트 한바퀴 돌고 공원길을
걷는게 잠깐의 휴식인 일상이었다
식재료 만지는 시간이 가장 행복한 시간이다
장보기 횟수가 현저히 줄고 이렇게 활용하니
월 식재료 구입비가 약 20만원쯤 줄었다
케일을 활용한 장아치는 처음으로 슴슴하게
담갔는데 맛이 있었으면 좋겠다
ㅡ ㆍ ㅡ ㆍ ㅡ ㆍ ㅡ ㆍ ㅡ
단무지 담그기
무 (2kg)는 굵직하고 길게 썰어 2밥술 소금에 절인다
절임물을 따라내 설탕. 식초 물을 더해 한소끔 끓여
식혀 붓는다
레몬즙을 짜 넣는다
베 주머니에 쌀겨를 넣어 밀폐통에 담아
냉장고에 두고 1주일쯤 숙성시켜 먹는다
※ 쌀겨는 발이 고운 체에 쳐 쌀의 씨 눈과 거친 것(싸래기 쌀) 분리해 볶으면 식용으로도 가능하다
고운 입자는 햇볕에 바짝 말려 볶으면 몇년을 두고
세안제. 조미용으로도 쓸수 있다
'요리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입육도 괜찮네... 소고기 전골 이야기 (0) | 2020.12.04 |
---|---|
시래기 밥 (0) | 2020.12.03 |
오랫만에 월남쌈... 맛있어서~ㅋㅋ (0) | 2020.11.07 |
남궁의 홍게살 볶음밥. 내가 만든 콩비지 반찬~ (0) | 2020.10.31 |
뒷 설거지 간단한... 알타리무 깍두기 담그기~ (0) | 2020.10.20 |